지금 프로덕트은 부문 별 통합을 거치며
작년에 크게 개념이 Revision 되었다.
사실 상 부문 별 별도 프로덕트를
하나로 통합하며
제약사항을 크게 풀고 KPI 달성을 위해서
꼭 챙겨야하는 개념만을 챙겼더니
사용성이 그다지 좋지 않은 부분이 현재 이슈이다.
올해에는 내실 다지기가 파트의 목표이기에
이 김에 페르소나도 재정의,
제약사항도 잘 재정의하기 위해
구매를 진행했다.
UX 기획의 기술
UX의 중요성만 알고 있고, 정작 UX 프로젝트의 기획 및 관리법을 모르는 기획자와 PM들을 위해 탄생했다.
www.aladin.co.kr
아는 내용이 대다수이지만서도
막혀있을 때 Back to Basics 하기 좋다.
또한 UX 개선을 위한 측정 툴을 많이 소개하고있고,
더 깊게 참고할만한 Web 주소들을
공유해주는 점도 도움이 된다.
사람들이 보고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
디자인할 때 할 수 있는
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는,
사용자 스크린에 있는
모든 요소를 찾아야 하는 상황을 피하도록
비슷한 항목을 묶는 것이다.
사용성테스트는
이 도구 상자에서 아주 중요하다.
테스트 결과 중 무엇이 효과적이고
무엇이 아닌지에 대한
통찰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.
여정 지도는 사용자가
프로세스의 다양한 단계로
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.
하지만 견고한 데이터가 뒷받침되지 않으면
잘못된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다.
현재 사용성은 목표치에 도달하는 것이
어렵다고 느껴지는 것이 개선 포인트라
여정 지도를 만들고, 일관성 있는 UX 제공과
목표까지의 클릭 수를 줄여보려고 한다.
추가로 참고하고 있는 자료들 :
UI 디자인 : 편리한 입력창 UI 만들기 (번역본)
이 게시물은 Medium - UX Collective 채널의 'Design better forms' 라는 문서를 번역한 게시글입니다. 맥락상 이해가 쉽도록 의역 + 수정했기 때문에 정확하지 못한 표현이 있을 수 있습니다. 원본글 링크 htt
replus1541.tistory.com
UI 디자인 : 더 나은 데이터 테이블을 만드는 방법 (번역본)
이 게시물은 Medium, UX Collective 채널의 'Design Better data tables'라는 문서를 번역한 게시글입니다. 맥락상 이해가 쉽도록 의역 + 수정했기 때문에 정확하지 못한 표현이 있을 수 있으며, 피드백을 주시
replus1541.tistory.com
'배움 로그 > boo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(0) | 2022.05.17 |
---|---|
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(1) 아키텍트에 대한 기대치 (0) | 2022.03.21 |
댓글